본문 바로가기
재테크/경제 상식 및 시사

맞벌이 부부 소득공제 공동 신고 시 유리한 항목

by 돈 공부 money study 2025. 1. 4.
반응형

👩‍❤️‍👨 맞벌이 부부 소득공제: 공동 신고 시 유리한 항목

맞벌이 부부의 소득공제 전략이 필요한 이유

맞벌이 부부는 소득이 각각 발생하기 때문에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어떻게 분배할지가 중요합니다.
올바른 전략을 세운다면 세금 부담을 줄이고 환급액을 극대화할 수 있죠.
오늘은 맞벌이 부부가 공동 신고 시 유리한 소득공제 항목과 활용 팁을 소개합니다. 😊


맞벌이 부부가 고려해야 할 주요 소득공제 항목

1. 💡 부양가족 소득공제

1) 부양가족 공제 조건

  • 부양가족(배우자, 부모, 자녀 등)의 소득이 연 100만 원 이하인 경우 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.
  • 맞벌이 부부는 부양가족 공제를 한 명이 몰아서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
2) 전략

  • 소득이 높은 배우자가 부양가족 공제를 신청하면 더 많은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.
  • 부모님이 60세 이상이라면 추가 공제 혜택(1인당 150만 원)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
2. 🏠 주택 관련 소득공제

1) 전세자금 대출 이자 공제

  • 맞벌이 부부 중 무주택 세대주인 배우자가 공제를 신청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조건: 연 소득 7천만 원 이하, 대출 목적이 전세자금이어야 함.
  • 공제 한도: 연 최대 300만 원.

2) 장기주택 저당차입금 이자 공제

  • 주택을 구입한 경우, 장기주택 대출 이자도 공제가 가능합니다.
  • 맞벌이 부부는 공동명의 주택일 경우 소득이 더 높은 배우자가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
3) 주택청약종합저축 공제

  • 연 소득 7천만 원 이하 배우자가 신청할 때 혜택이 더 큽니다.
  • 연 납입액의 40%, 최대 96만 원 공제 가능.


3. 🛒 신용카드 사용액 소득공제

1) 공제 기준

  • 소득의 25% 초과분에 대해 공제가 적용됩니다.
  • 신용카드: 15%, 체크카드 및 현금영수증: 30%.

2) 전략

  • 소득이 높은 배우자가 신용카드 사용액 공제를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  • 반면, 소득이 낮은 배우자는 신용카드 사용 금액이 소득의 25%를 초과하기 쉬우므로 체크카드 사용을 권장합니다.
  •  

4. 👶 자녀 및 교육비 공제

1) 자녀 공제

  • 자녀 기본 공제: 1인당 150만 원
  • 맞벌이 부부는 소득이 높은 배우자가 신청해야 절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

2) 교육비 공제

  • 자녀의 유치원, 학교, 대학 학비는 부모 중 한 명만 신청 가능합니다.
  • 전략적으로 소득이 높은 배우자가 공제를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.
  • 본인이나 배우자가 학업 중일 경우, 본인의 교육비는 전액 공제가 가능합니다.


5. 💳 연금저축 및 개인형 퇴직연금(IRP) 공제

1) 공제 한도

  • 연금저축: 연 최대 400만 원
  • IRP: 연 최대 700만 원까지 추가 공제 가능.

2) 전략

  • 두 배우자가 모두 연금저축에 가입하면 공제 한도를 나눠 활용 가능.
  • 소득이 높은 배우자가 더 많은 금액을 납입하는 것이 유리.

6. 💊 의료비 소득공제

1) 공제 기준

  • 연 소득의 3%를 초과하는 의료비에 대해 공제가 가능.
  • 본인, 배우자, 부양가족의 의료비 모두 공제 대상.

2) 전략

  • 의료비가 소득의 3%를 초과하지 않는 배우자는 공제를 받지 못하므로, 소득이 낮은 배우자가 의료비를 몰아서 납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

맞벌이 부부, 전략적으로 소득공제를 나누세요!

맞벌이 부부는 소득공제를 적절히 나누어 활용하면 더 큰 절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
소득과 지출을 꼼꼼히 분석해 누가 어떤 공제를 받을지 사전에 계획하세요. 특히, 부양가족 공제나 주택 관련 공제는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 😊


Q&A: 맞벌이 부부 소득공제 관련 FAQ

Q1. 부양가족 공제를 두 배우자가 나눠 받을 수 있나요?

아니요, 한 명의 배우자만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소득이 높은 배우자가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
Q2. 신용카드 소득공제를 두 명이 각각 받을 수 있나요?

네, 각자의 소득 대비 사용액 기준으로 신용카드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Q3. 공동명의 주택의 소득공제는 어떻게 하나요?

공동명의 주택의 경우, 소득이 더 높은 배우자가 공제를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
반응형